본문 바로가기
Good english/즐거운 영어 회화

영어로 번역이 힘든 한국어 표현 8가지

by 자미날 2025. 4. 2.

한국어는 그 깊이와 뉘앙스로 인해 외국인들이 번역하거나 통역하기 어려운 언어 중 하나입니다. 특히, 한국어에는 직역이 불가능하거나 문화적 배경이 필요한 표현들이 많아 자연스럽게 영어로 옮기기 쉽지 않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외국인들이 영어로 번역하기 힘든 대표적인 한국어 표현들을 살펴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막 없이 드 보는 그까지」 영어 배우기, 🫵 자미날의 취미 영어 회화 시간입니다.

 

외국인이 영어로 번역하기 힘든 한국어 표현 8가지

1. 정(情)

"정"은 한국 문화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이지만, 영어로 딱 떨어지는 번역이 없습니다. 이는 사람 간의 유대감, 애정, 친근함을 포괄하는 단어로, 단순히 "affection"이나 "attachment"로 번역하기에는 그 의미가 부족합니다.

 

2. 한(恨)

"한"은 한국의 역사와 문화에서 깊이 뿌리내린 감정으로, 억울함과 슬픔, 복수심이 뒤섞인 복합적인 개념입니다. 영어에서는 "resentment", "grudge", "deep sorrow" 등으로 번역되지만, 정확한 의미를 전달하기 힘듭니다.

 

 

3. 눈치

"눈치"는 상대방의 기분이나 분위기를 파악하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영어로는 "tact"나 "sense"로 번역되지만, 한국어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상황을 담기 어렵습니다.

 

 

4. 답답하다

"답답하다"는 단순히 "frustrated"나 "stifling"으로 번역될 수 있지만, 상황에 따라 의미가 달라집니다.

 

5. 아쉽다

"아쉽다"는 단순히 "regretful"이나 "disappointed"로 번역되지만, 완벽하게 일치하는 표현이 없습니다.

 

6. 수고하다

한국어에서는 "수고하세요"처럼 상대방의 노고를 인정하는 표현을 자주 사용합니다. 그러나 영어에는 이와 동일한 개념의 인사가 없습니다.

 

7. 내적 갈등

"내적 갈등"은 "internal conflict"로 번역될 수 있지만, 한국어에서 내적 갈등은 심리적인 깊이가 강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8. 어정쩡하다

"어정쩡하다"는 애매하거나 확실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합니다. 영어로는 "awkward", "ambiguous", "vague" 등으로 번역할 수 있지만, 문맥에 따라 정확한 의미를 전달하기 어렵습니다.

 

결론

한국어에는 영어로 번역하기 어려운 표현이 많으며, 이는 한국 문화와 사고방식이 반영된 언어적 특성 때문입니다. 이러한 표현들을 이해하고 적절하게 번역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직역이 아니라 맥락을 고려한 번역이 필요합니다.

 

✈️ 해외여행 필수 영어 회화 표현 모음

 

 

 

반응형
facebook twitter kakaoTalk naver band shareLink